전기차 시대의 총아로 떠오르면서 끊임없이 상승만 할 줄 알았던 에코프로 주가가 하염없이 추락하면서, 고점 대비 반토막에 가까운 하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실물 경기의 침체까지 이어지고, 전기차의 판매량이 급감하면서 2차 전지 광풍이 시들고 있는 실정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연고점을 경신하면서 수급에 부담을 느낀 외국인들이 2차전지 종목을 집중적으로 팔아치우면서 에코프로는 전날 대비 -8.55% 급락하면서 마쳤습니다.
미국 증시에서도 전기차 주들이 하락했는데, 테슬라는 -2.02%, 테슬라의 대항마로 불리는 리비안은 -8.33%, 루시드는 -2.89% 하락한 수치를 성적표로 받아들였습니다.
실물 경기 침체는 이미 2022년부터 시작했음에도 2023년에 급등했던 에코프로 주가 하락의 끝은 어디까지? 일지에 대한 분석과 앞으로 주가의 전망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에코프로 회사 소개

THINK TOMORROW TECHNOLOGY FOR FUTURE
에코프로는 1998년 설립 이래 대기오염 제어 관련 친환경 핵심소재 및 부품 개발에 주력해왔으며 2003년부터 수입 의존도가 높은 이차전지 핵심 소재들의 단계별 국산화에 성공함으로써 ‘환경’과 ‘에너지’를 양대축으로 성장하였습니다.
2016년 5월, 양극소재 사업 전문화를 위하여 에코프로비엠을 물적분할한 에코프로는 2021년 5월 대기환경사업의 전문화를 위해 에코프로에이치엔을 인적분할하고 지주회사로 전환하여 신성장동력 발굴과 ESG 경영체계 확립, 안정적인 자금조달에 집중할 예정입니다.
IT/반도체, 철강, 자동차 산업의 발달 등으로 인류의 삶은 점점 더 편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술개발은 필연적으로 대기오염, 지구환경 파괴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에 착안하여 에코프로는 유해가스를 제거하고, 대기오염을 방지하는 대기 환경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 하였습니다.
또한 리튬2차전지용 핵심소재분야로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하여
국내 최초로 금속원료로부터 전구체와 양극소재를 일괄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구축하며 2차 전지 신소재 분야의 선도기술을 확보, 명실상부한 혁신성장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저희 모든 임직원들은 기존사업영역을 더욱 공고히 함과 더불어 열린 사고와 창의적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끊임없이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여 회사 모든 이해 관계자에게 두루 행복을 주는 기업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에코프로 기업현황

에코프로의 본사는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과학산업2로 587-40 주식회사 에코프로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주소는 http://www.ecopro.co.kr 이고, 대표전화는 043-240-7700(주식담당: 043-240-7700)입니다.
1998년 10월 22일 설립한 에코프로의 상장일은 2007년 7월 20일입니다.
송호준 대표이사 외 159명의 종업원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감사인은 삼정회계법인이며, 명의개서는 국민은행이고, 주거래은행은 KDB산업은행 (청주지점)입니다.
에코프로 주요 투자정보

에코프로의 주요 투자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EPS 2,307 / BPS 53,036 / PER 357.24 / 업종 PER 32.50 / PBR 15.54 / 현금배당수익률 0.06%
에코프로 최근 연혁 사항

2023/03/30
사업목적 추가 : 국내외 자원의 탐사, 채취, 개발사업, 수출입대행업, 무역대리업을 포함한 수출입사업
2023/03/30
경영진의 변동 : 송호준 대표이사 , 김재정 사외이사 선임 / 최상운 사내이사 재선임 / 김재정 사외이사 , 김상도 감사, 김병훈 대표이사 임기
만료 또는 해임
2023/03
SK에코플랜트, 테스社와 유럽 지역 배터리 재활용 사업 협력 MOU체결
2023/02
에코프로 그룹 책임광물 보고서 공개
2022/12
4년 연속 ‘지역사회공헌인정기업’ 선정
에코프로 시세 관련 사항

에코프로의 52주 최고가는 7,250원이며, 최저가는 2,680원입니다.
액면가는 500원이고, 총 발행 주식수는 48,907,400주입니다.
이 중 62.54%가 유동비율이며, 외국인 지분율은 2.06%입니다.
에코프로 주요 주주 현황
에코프로의 주요 주주는 이동채 외 10인이 26.16 %에 해당하는 6,965,112 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표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주요주주 | 보유주식수(보통) | 보유지분(%) |
---|---|---|
이동채 외 10인 | 6,965,112 | 26.16 |
이동채 | 5,017,849 | 18.84 |
데이지파트너스 | 1,430,696 | 5.37 |
이선이 | 389,905 | 1.46 |
이승환 | 38,112 | 0.14 |
이연수 | 29,821 | 0.11 |
김애희 | 14,513 | 0.05 |
강민석 | 13,071 | 0.05 |
강예리 | 11,038 | 0.04 |
강예지 | 10,127 | 0.04 |
에코프로공동근로복지기금 | 9,863 | 0.04 |
박재하 | 117 | 0.00 |
자사주 | 278,849 | 1.05 |
에코프로 재무제표
에코프로의 재무제표입니다.
2020년 기준 매출액 : 8,508억 원 / 영업이익 : 636억 원 / 당기순이익 : 551억 원
2021년 기준 매출액 : 1조 5,042억 원 / 영업이익 : 860억 원 / 당기순이익 : 2,786억 원
2022년 기준 매출액 : 5조 6,397억 원 / 영업이익 : 6,132억 원 / 당기순이익 : 2,206억 원
2023년 예상 매출액 : 9조 780억 원 / 영업이익 : 7,372억 원 / 당기순이익 : 4,890억 원
에코프로 현재가
2023년 10월 5일 종가 기준으로 현재가는 전 거래일보다 -8.55% 하락한 824,000원의 가격으로 마감됐습니다.
거래량은 605,496주를 기록하면서 이전 거래일의 거래량인 344,822주 보다 많은 거래량을 기록했습니다.
에코프로의 시가총액은 21조 9,412억 원이며, 자본금은 133억 원입니다.
대용가는 576,800원이고, 신용비율은 1.06%입니다.
에코프로 주가 전망 및 분석

에코프로의 시가총액은 약 22조원이고, 에코프로비엠의 시가총액은 약 23조원입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시가총액이 약 1조원이므로 세 종목을 모두 합치면 약 46조원입니다.
46조원은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에 이어 대한민국 시가총액 5위에 오르는 수치입니다.
에코프로만 따로 빼 놔도 현대모비스, KB금융과 비슷한 수준인 13~14위권의 시가총액 규모입니다.
2023년 초까지 10만원 초반대이던 에코프로의 주가는 7월 26일 153만 9천원의 역사적인 고점을 기록합니다.
경기침체가 이미 시작된 상황에서 무려 15배가 상승한 것이지요.
코로나 팬데믹때로 돌아보면 2020년 3월 8,933원으로 9천원대에서 무려 170배가 상승했습니다.
차트상으로 하락치를 예상해보자면 일봉상 차트는 120일선까지 깨지면서 지지할 만한 지지선이 없습니다.
주봉으로 보자면, 60일선이 475,000원 수준이고, 120일 선이 282,000원 수준입니다.
월봉으로 보자면, 10일선이 714,000원, 20일선이 407,000원, 60일선이 160,000원, 120일선이 86,000원 수준입니다.
월봉 120일선이 머나먼 이야기로 들리겠지만, 코로나 이후 엄청난 상승세를 기록한 NAVER와 카카오 모두 월봉 120일선이 무너졌습니다.
에코프로도 가능한 수치란 이야기겠죠.
우선은 가장 가까운 지지선인 월봉 10일선이 714,000원인데, 이 가격대에서는 단기적으로 반등할 가능성이 높지만,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싶습니다.
미국 금리가 올해안으로 내려온다고 하더라도 시장 상황을 보고 천천히 내려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전기차 시장이 2021년만큼 각광을 받기는 다소 힘들어 보입니다.
2023년 초만 하더라도 에코프로가 150만원을 넘길 것이라고 예상했던 사람들은 아무도 없습니다.
저 역시 마찬가지였고요.
시장 상황이 좀 변하기는 했지만, 에코프로 기업 자체가 본질적으로 변한 것은 없습니다.
가장 많이 바뀐것은 시장 참여자의 광기가 사라졌다는 것이지요.
개인적으로 에코프로의 적정주가로 중장기적으로 40-50만원 수준으로 보고 있는데, 여기까지 내려올지는 지켜봐야 할 듯 하군요.